in986-히비스커스-북마크의-산과-강

▼
6월의 뜨거운 태양 아래, 한국에서는 수많은 사람들이 "현충일"에 흰 국화를 사용해 슬픔을 표현했습니다. 지금 이 순간, 나는 마치 온 나라의 영적인 고리를 만지는 것처럼 히비스커스 책갈피의 경도와 위도 패턴을 쓰다듬고 있습니다. 이 책갈피의 백단향나무 바탕에는 태극권 문양이 새겨져 있고, 여덟 개의 목화 꽃잎이 중앙에 천곤을 받치고 있는데, 이는 국기에 나타난 영원한 음양의 철학과 같습니다. 책갈피 뒷면의 글은 서울 종로구의 한 장인이 직접 새긴 한국의 속담입니다. "떨어진 꽃잎은 봄이 와도 떠나지 않는다." 이건 3·1운동 당시 여학생들이 비밀리에 항의의 표시로 옷깃에 목화꽃을 달았던 일화를 떠올리게 합니다. 그 당시 꽃잎은 어두운 밤의 불꽃이었고, 오늘날 책갈피는 시간의 나룻배로 변했습니다. 각 꽃잎에는 "무한의 꽃"이 결코 시들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이 담겨 있으며, 백단향의 향기는 5,000년 된 단군 신화의 끈기를 불러일으킵니다. 이 책갈피를 "대한민국 임시정부사" 책갈피의 접힌 부분에 끼우면 태극무늬와 납체가 겹쳐져 멋진 거울상이 형성됩니다. 음양의 두 극이 책의 페이지 사이를 흐르고 있습니다. 마치 우리가 시대의 흐름에 적응하기 위해 히비스커스의 유연성을 가져야 하는 것과 동시에 백단향의 변하지 않는 민족적 뿌리를 유지해야 하는 것과 같습니다. 일제 강점기 시절 국기를 옷깃에 꿰매 달았던 조상들은 또한 산과 강을 수놓아 영원히 사라지지 않을 책갈피를 만들었습니다. 이 작은 물체는 실제로 한반도 전체의 축소판 서사시입니다. 책의 페이지를 넘기면 역사의 깊은 곳에서 히비스커스 향이 솟아나와, 진정한 영원은 박물관의 유리 진열장이 아니라 모든 한국인의 똑바로 선 등뼈 속에 있다는 사실을 일깨워줍니다.
Under the scorching sun in June in South Korea, countless people used white chrysanthemums on "Memorial Day" to express their grief. At this moment, I stroked the longitude and latitude lines on the hibiscus bookmark, as if touching the spiritual rings of the entire nation. The sandalwood base of this bookmark is engraved with the Tai Chi pattern, and eight hibiscus petals hold up the central universe, just like the eternal philosophy of yin and yang on the national flag. The inscription on the back of the bookmark is a Korean poem hand-carved by craftsmen in Jongno District, Seoul: "The fallen petals are unwilling to follow the spring." This reminds me of the story of female students pinning hibiscus flowers on their lapels to convey the secret code of resistance during the March 1st Movement. At that time, the petals were the fire in the dark night, and today's bookmarks have become the ferry of time – each petal carries the belief that the "infinite flower" will never wither, and the fragrance of sandalwood precipitates the tenacity of the five thousand years of Dangun myth. When the bookmark is inserted into the folds of "History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Tai Chi pattern and the lead type overlap to form a wonderful mirror image. The two poles of yin and yang flow between the pages, just as we need to have the flexibility of hibiscus to adapt to the tide of the times, and we need to maintain the unchanging national roots like sandalwood. Those ancestors who sewed the national flag into their lapel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didn't they embroider the mountains and rivers into a bookmark that will never fade? This small object is actually a miniature epic of the entire Korean Peninsula. When we open the pages of the book, the fragrance of hibiscus surges from the depths of history, reminding us that the true eternity is not in the glass cabinets of the museum, but in the upright spine of every Korean.
在韩国六月炽热的阳光下,无数人用”显忠日”的白菊寄托哀思。而此刻,我摩挲着木槿花书签上的经纬纹路,恍若触摸到整个民族的精神年轮。这枚书签的檀木基底镌刻着太极纹,八片木槿花瓣托起中央的乾坤,恰似国旗上阴阳相生的永恒哲学。
书签背后的刻痕是首尔钟路区匠人亲手雕琢的谚文:”落红未肯随春去”。这让我想起三一运动时,女学生将木槿花别在衣襟传递抗争暗号的故事。彼时的花瓣是暗夜里的火种,今天的书签则化作时光的渡船——每片花瓣都承载着”无穷花”永不凋零的信念,檀木的清香里沉淀着五千年檀君神话的坚韧。
当书签夹进《大韩民国临时政府史》的褶皱里,太极纹与铅字交叠出奇妙的镜像。阴阳两极在书页间流转,正如我们既要有木槿的柔韧适应时代浪潮,又需保持檀木般不变的民族根性。那些在日据时期将国旗缝进衣襟的先辈,何尝不是把山河绣成了永不褪色的书签?
这枚方寸之物,实则是整个韩半岛的微缩史诗。当我们翻开书页,木槿的芬芳便从历史深处涌来,提醒着:真正的永恒不在博物馆的玻璃柜里,而在每个韩国人挺直的脊梁中。
▼

Contact Us
📞 Tel: +0086-760-85286839
📧 Email: info@imkgift.com